본문 바로가기

Dev. OS

[리눅스] yum 응용편[1차 -cd 설치, 2차 - 인터넷 설치]

오늘 다뤄볼 내용은 리눅스 설치 명령어 yum을 응용해서 1차로 cd에 접근하게 하고, 

2차로 Centos7 서버에 접속하여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1,2 차로 나누는 이유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보다 cd로 설치하는게 더 빠르기 때문입니다. 


실습 준비 시디 마운트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yum 명령을 실행하게 되면 yum은 저장소에 접근하여 설치할 파일이 있는지 찾아보게 됩니다.

그런 저장소 정보가 들어있는 파일이 아래에 보이는 CentOs-Base.repo 입니다.


/etc/yum.repos.d/CentOS-Base.repo



yum을 실행하게 되면, [base] 하단에 보이는 주소로 접근하게 되는데요.

앞서 말씀 드린 것처럼, cd에 1차적으로 접근하게 하려면 아래와 같이 이 파일을 수정해 주면 됩니다.



이제 설정을 바꾸어 주었으니, 실제 설치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그럼 어떤 패키지를 설치해 볼까요? 

어떤 패키지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grouplist 명령을 실행합니다.



제가 설치한 버전이 한글 CentOS7이라 한글로 보이네요 (쿨럭)

그럼 한글로 써 주면 설치가 되지 않느냐?

물론 됩니다.

그러나, 영문 서버에 있는 내용을 한글로 매칭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겠죠...

그래서 리눅스는 chvt 명령으로 영문 리눅스로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터미널에서 chvt 2 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2번 영문 리눅스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yum grouplist hidden > glist.txt


위 명령을 실행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설치 가능한 목록을 glist.txt 라는 파일로 저장하여 줍니다.




다음은 실제 설치 화면입니다.




간단한 내용인데도 설명하면서 하려니 어렵네요.

도움 되셨길 바라며 마치겠습니다 ^^


'Dev.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네트워크 명령어  (0) 2015.02.08
CentOS7 FTP 설치 및 접속  (0) 2015.02.07
리눅스/유닉스 디렉토리 이동  (0) 2015.02.04
리눅스 파일 권한 변경하기(chmod)  (0) 2015.02.03
리눅스 설치 명령어  (0) 2015.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