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 Tool
무료 텍스트 에디터 추천 (Sublime Text, Atom, Brackets, Visual Studio Code)
devock
2016. 8. 19. 00:03
[출처] 개발자스럽다 블로그

비슷하지만 각자의 개성이 있는 텍스트 에디터 4개를 살펴보자.
Sublime Text (서브라임 텍스트), Brackets (브라켓), Atom(아톰), Visual Studio Code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는 비슷한
사용자 화면을 제공한다. 그래서 굳이 다른 에디터를 사용해 볼 생각이 없었다면 지금 소개하는 에디터 모두 사용해보기를 추천한다.
지금도 많이 사용하고 과거에도 많이 사용했던 UltraEdit(울트라에디트), EditPlus(에디트플러스),Notepad++(노트패드플러스플러스)등의 좋은 에디터가 있지만 지금 소개하는 에디터가 주목 받고 있는 이유가 있다.
처음 설치하면 무심하게도 첫 화면이 너무 심플하고 기본적으로 있어야될 법한 기능도 없다. 딱 코드 작성에 필요한 만큼만 있다.
이 부분이 주목하는 첫 번째 이유고 두번째는 키보드만으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 있으며 다양한 패키지가 준비되어 있어 필요한 기능만 설치할 수 있는게 장점이다.
이러한 디자인 설계는 서브라임 텍스트가 시작이었고 그 만큼 많은 사용자와 패키지를 보유하고 있다.
그 뒤로 3개의 에디터들이 서브라임 텍스트의 장점을 살려 비슷한 UX/UI가 된것으로 판단된다.
Sublime Text
Atom
Brackets
Visual Studio Code
마무리하며
서브라임 텍스트만 유일하게 상용 에디터이다. 하지만 구매하지 않아도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이 구매해도 회사에서 사용이 가능한 라이선스를 가지고 있다.(자세한 정보는 라이선스 정보를 참고하길 바란다.)
아톰은 오픈 소스로 급 성장하면서 서브라임 텍스트와는 차별화로 조금 더 편한 UX/UI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거 같다.
브라켓은 웹 개발자, 웹 퍼블리셔를 타겟으로 웹 개발에 편한 UX/UI를 제공한다.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메모장 이 후로 처음 내놓는 텍스트 에디터이면서 무료고 제공하여 큰 이슈가 되었지만 아직 프리뷰 버전이라 평가하기 힘든 단계다.
조사하면서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는데 위 4개으 에디터는 모든 운영체제를 지원한다. 어떻게 동일한 속도로 모든 운영체제 지원을 하고 있을까?
위 표에서 "프레임워크"라고 명시한 부분인데 아톰, 브라켓, 비주얼 스튜디오 모두 크로미엄 임베디디 프레임워크(CEF)를 기반이라는 점이다.
(덧, Electron framework라고 아톰과 비주얼 스듀디오 코드에 표기했는데 CEF를 기반으로 깃허브에서 만든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다.)
서브라임 텍스트는 별도의 GUI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C++로 작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