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현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벤트 핸들러 등록과 구현의 분리 $(document).ready(function() { // 로그인 버튼과 클릭 이벤트에 대한 핸들러 등록 $("#btnLogin").click(OnBtnLoginClicked); // 로그아웃 클릭 이벤트 핸들러 등록 $("#btnLogout").click(OnBtnLogoutClicked);}); function OnBtnLoginClicked(event) { // 로그인 버튼 이벤트 핸들링} function OnBtnLogoutClicked(event) { // 로그아웃 버튼 이벤트 핸들링} 이벤트 핸들링 코드가 너무 길어지는 경우는 위와 같이 이름 있는 함수를 이용해 핸들러를 등록하는 코드와이벤트 핸들링을 구현하는 함수를 분리해서 로드 이벤트 핸들러의 코드를 좀 더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다. 추상 클래스 뽀개기 추상 클래스는 이전 포스팅에서도 다룬 적이 있지만, 다시 정리된 내용이 있어 새로 올린다.먼저 추상 클래스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렇게 글로 된 설명만 보고 추상 클래스를 이해 하였다면, 당신은 현업 개발자이거나 프로그래밍 감이 정말 좋은 축에 속하는 사람일 것이다. 필자를 포함한 초보들은 이런 설명만 보고는 도무지 이해를 못한다. 동의하였다면 아래 그림을 살펴보자. 1. 추상 클래스 추상 클래스는 미완성 클래스이다. 객체가 가지는 특성을 추상화 했으나 구현하지 못한 것이다. 2. 자식 클래스 자식 클래스에 공통으로 포함된 move 메서드와 carry 메서드에서 볼 수 있듯이, 추상 메서드는 반드시 자식 클래스에서 오버라이딩하여 구현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자식도 추상 클래스가 된다.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