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unit

(3)
Spring MVC Controller 를 JUnit으로 Test 하기 with EasyMock [출처] 머찐아빠 블로그 annotation을 이용한 jUnitTest를 하려면 이것저것 신경쓸게 많다. 하지만 EasyMock을 사용하면 그 신경쓸꺼리를 많이 덜게 해준다. 특히 Controller 같은 경우 request, response등의 Mockup 객체가 있어야 하기에 더더욱 그렇다. 세팅방법은 간단하다. EasyMock의 클래스/메소드 사용법만 익히면 된다. 1. 관련 jar 파일을 임포트한다. easymock-3.0.jar 처음 easymock-3.0.jar(현재 최신판)만 import 하니 관련 클래스가 없다는 다음의 메시지가 뜬다.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org/objenesis/ObjenesisHelper --- 이하 생략 ---- 그래서 찾아보니 j..
JUnit 샘플 코드 [출처] 자바 웹 프로그래밍 Next Step package com.calculator.test; import static org.junit.Assert.assertEquals;import org.junit.Before;import org.junit.After;import org.junit.Test; public class CalculatorTest{// 인스턴스 변수 1회 선언으로 하위 메소드에서 재사용private Calculator cal;// Before 어노테이션을 통한 전처리 작업@Beforepublic void setup(){cal = new Calculator();System.out.println("before");}// Test 코드 작성@Testpublic void add(){// as..
Error: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org/junit/runners/model/MultipleFailureException 출처 : 버그잡는 타다키치(http://tadakichi.tistory.com/97) 스프링에서 테스트를 위해 Junit을 실행하려 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뜬다. 이는 본인의 스프링 버전이 4.1.5로 비교적 최신 버전을 쓰고 있는데 이것이 Junit 4.7 버전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인 것 같다. 처음에 프로젝트를 만들 때 Junit 버전이 디폴트로 4.7로 돼 있다. pom.xml로 가서 Junit 버전만 높여주면 간단히 해결된다. 이처럼 버전 차이에 따른 에러는 찾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주의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