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버라이딩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추상 클래스 뽀개기 추상 클래스는 이전 포스팅에서도 다룬 적이 있지만, 다시 정리된 내용이 있어 새로 올린다.먼저 추상 클래스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렇게 글로 된 설명만 보고 추상 클래스를 이해 하였다면, 당신은 현업 개발자이거나 프로그래밍 감이 정말 좋은 축에 속하는 사람일 것이다. 필자를 포함한 초보들은 이런 설명만 보고는 도무지 이해를 못한다. 동의하였다면 아래 그림을 살펴보자. 1. 추상 클래스 추상 클래스는 미완성 클래스이다. 객체가 가지는 특성을 추상화 했으나 구현하지 못한 것이다. 2. 자식 클래스 자식 클래스에 공통으로 포함된 move 메서드와 carry 메서드에서 볼 수 있듯이, 추상 메서드는 반드시 자식 클래스에서 오버라이딩하여 구현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자식도 추상 클래스가 된다. 3... toString은 반드시 오버라이딩 한 후에 사용해야 한다. toString 메소드를 오버라이딩 하지 않을 경우에는, Object 클래스의 toString 메소드를 호출한다. 즉 우리가 얻고자 하는 의미있는 값이 아닌, 16진수 주소 값을 가져온다.따라서, toString 메소드는 반드시 오버라이딩 한 후에 사용하여야 한다. class Card{String kind;int number;Card(){this("SPADE", 1);}Card(String kind, int number){this.kind = kind;this.number = number;}// toString 오버라이딩public String toString(){// Card 인스턴스의 kind와 number를 문자열로 반환한다.return "kind : " + kind + ", number : "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