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프링

(15)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boardServiceImpl': Injection of autowired dependencies failed 개발 도중에 콘솔창에서 이런 화면을 만나게 되는 것을 좋아하시는 분을 없을 것입니다.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boardServiceImpl': Injection of autowired dependencies failed컴파일시에 에러는 안 났는데... 왜 서버를 올리면 저런 에러를 뱉어낼까요 ㅡㅡ? 위와 같은 에러는 컴파일 시 에러가 발견되지 않았다면... 대부분 초기 설정에 문제가 있어서 발생합니다. (적어도 저의 경험상으로는 ㅡㅡㅋ) 다음은 root-context. xml 파일의 일부입니다. boardServiceImpl.java 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던 이유는, boardServiceImpl 에서 Dao 단의 파일을 사용하고 있어서 입니다.당연한 말이지만, DAO가 먼..
자동 import 단축키 개발 작업을 하다보면, 이런 화면을 자주 만나게 됩니다. 엑박의 압박이라고나 할까요...원인은 사용 중인 클래스를 import 안 해줬기 때문인데요.하나씩 누르려고 하면 짜증이 나죠. 그래서 자동 import 단축키를 소개합니다.ctrl + shift + o 굉장히 편리한 기능입니다 ㅋㅋ
mapped statements collection does not contain value for Spring과 MyBatis 연동 테스트 중 다음과 같은 에러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흠... 구글링을 하여 보니 mybatis 연동시 아래 에러를 만나면..Caused by: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Mapped Statements collection does not contain value for Mapping 관련 컬럼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고 아래 3개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자.. most importantly you should use same names for.interface = xxx.yyy.mappers.SettingMapper.classmapper file = /xxx/yyy/mappers/SettingMapper.xmlmapper namespace =..
스프링 어노테이션 정리 @Autowired패키지: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버전: spring 2.5설정 위치: 생성자, 필드, 메서드(setter메서드가 아니여도 된다) 앞의존관계를 자동설정할 때 사용하며 타입을 이용하여 의존하는 객체를 삽입해 준다. 그러므로 해당 타입의 빈객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2개 이상 존재할 경우 스프링은 예외를 발생시키게 된다.options:required: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적용한 프로퍼티 중 반드시 설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false값을 주어 프로퍼티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스프링이 예외를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기본값은 TRUE. ex) @Autowired(required=false)사용하려면 클래스를 빈으로 등록시켜줘야 한다..
DispatcherServlet란 도데체 무엇일까? [출처] http://springmvc.egloos.com/504151 스프링MVC는 DispatcherServlet 등장으로 정말 엄청나게 web.xml의 역할이 축소되었습니다. 예전같으면 서블릿을 URL로 활용하기 위해선 반드시 web.xml에 등록해야 했지만 이젠 DispatcherServlet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들어오는 요청을 모두 핸들링해주니 말이죠. 물론 아직까지 web.xml의 역할은 중요합니다. 으로 DispatcherServlet을 등록해줘야 하는데다 이 객체의 URL 적용범위 또한 web.xml에다 설정해야 하구요. 향후 고급서비스를 위해 나 를 등록하는 역할 또한 web.xml의 기능으로 남아 있습니다. 대신 앞으로 web.xml에서 가장 주요하고 자주 쓰이는 기능인 매핑은 이제..
스프링이 도대체 뭐란 말인가? http://springmvc.egloos.com/487497 본 문서를 읽는 독자들에게 부탁하나 하노라면 토비의 스프링 3와 함께 읽어주길 바란다.많은 부분이 이 책에서 인용되었고 필자 또한 책을 읽고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에 대해 적어놓는 형태인지라책과 함께 블로그를 읽는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되기 때문이다. 토비의 스프링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스프링은 거대한 컨테이너임과 동시에 Ioc/DI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거룩한 존재이며 서비스 추상화를 통해 삼위일체로 분리되는 3단 변신로봇이라고 한다. 이럴수가! 뭔말하는지는 하나도 모르겠지만 일단 말만 들어도 엄청난데다 가격까지 공짜다. 게다가 이걸 쓰는 사람들마다 칭찬 또 칭찬 일색이니 궁금해서 참을 수가 없다. 근데 말이다…. 필자는 스프링의 ..
스프링 MVC 컨트롤러의 역할 스프링 MVC의 컨트롤러는 무엇을 처리해 주는가? 1. 파라미터의 수집 웹에서 가장 많이 하는 작업은 사용자의 요청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VO 또는 DTO로 변환하는 파라미터의 수집 작업입니다. 스프링 MVC의 컨트롤러는 이렇ㄴ 처리를 자동으로 해 주기 때문에 개발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2. 애노테이션을 통한 간편 설정스프링 MVC의 ㅅㄹ정은 크게 XML과 애노테이션을 사용할 수 있지만,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애노테이션을 사용하기 때문에 개발자는 클래스나 메소드의 선언에 필요한 애노테이션을 추가하는 작업을 통해서 요청이나 응답에 필요한 모든 처리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3. 로직의 집중기존의 모델2는 특정한 URI마다 컨트롤러를 개발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스프링..